1. 개요GitLab에는 CICD 시 프로젝트의 Test Coverage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Build 시 Test Coverage 수치를 로그로 찍어두면, 정규식을 활용하여 추출해낼 수 있고, 아래 사진과 같이 Readme에 표현할 수 있다. 관련 공식 문서는 여기 를 참고하면 된다. 이렇게 추출해둔 커버리지는 회사에서 각 프로젝트들의 테스트 커버리지 현황을 관리할 때 사용하고 있다. 테스트 커버리지가 높다고 장애가 없는, 리팩토링에 안전한 프로젝트라고 장담할 수 없지만 전혀 의미 없는 수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우리 팀은 Spring Boot Multi Module 형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체 모듈에 대한 커버리지를 하나로 표현할 방법을 모색해야..
1. APM 이란?APM이란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의 약자이다.즉,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관리/모니터링 을 담당한다. APM 도구를 사용하면 서버에서 발생하는 메트릭(CPU, Memory, Thread, Transaction, …), 이벤트, 로그, 트랜잭션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한 데이터는 아래의 목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성능 문제를 예측하고 방지고객 기대 성능 보장, 고객 경험 향상응답 시간 보장가용성 증대, 다운타임 감소 2. Pinpoint 와 Prometheus+Grafana 차이Prometheus+Grafana도 유명한 모니터링 도구이다. Pinpoi..
1. 개요예전에 봤던 Spring Cloud 강의를 복습하며 이벤트 스트리밍, SAGA 패턴, CQRS 등 MSA에 사용되는 여러 기술들에 익히기 위해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고 학습하고 있었다. 처음 multi module을 공부해야겠다 했던 건 kafka 관련 설정과 이벤트 통신을 위한 dto들의 코드 중복 때문이었다. MSA 환경을 구성하면서도 코드가 중복된다는게 많이 느껴졌고 공통 모듈로 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JWT 토큰을 사용하여 인증, 인가 처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위 로직도 어디로 빼야할 지 고민이 되었다. 정말 예전에 multi module에 대해서 강의를 본 적이 있는데, 그 땐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갔지만 이번엔 제대로 알아보고 multi module로 msa 환경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